티스토리 뷰

예전에 회사에서 테스트 하려고 구매했던 ST사의 B-L072Z-LRWAN1 로라 보드가 있는데 LoRa 송수신 테스트 할 일이 있어서 잠깐 꺼내놓았다가 Network 서버에 데이터 올리는 것 까지만 테스트하고 방치했던 보드다. 위치 센서 ADC 테스트 할 일이 있어서 연결해서 테스트를 해보았다. 

B-L072Z-LRWAN1 보드의 로라 메인칩은 Murata LoRa Module을 사용 했는데 내부 구성은 보기엔 간단해보인다.

 

Murata LoRa Module

 

내부에 STM32L0 MCU가 있고 Semtech의 SX1276 로라 트랜시버 칩이 있다.

ST사의 STM시리즈 Cortex-M 계열의 MCU를 사용해봤다면 무리 없이 사용이 가능할 듯 싶다. 

테스트 해 볼 센서는 알리에서 구매한 Linear Position Sensors KTC-50 이라는 제품이다. 선형 위치센서 라고도 하는것 같다. 0 ~ 50mm 까지 0.01mm 단위로 길이를 측정 할 수 있다. 

 

ST 개발 보드 ADC 연결

 

싼 제품을 구매해서 그런지 생각보다 센서크기가 컸고 못생겼다. 센서 동작을 살펴보면 모델명 오른쪽 옆에 보면 숫자가 1 ~ 4번까지 있는데 일단 4번은 안써도 되고. 1번 : 5V, 2번 : ADC0, 3번 : GND 이런식으로 구성을 해서 ADC 값을 읽었다.

 

ADC 길이 값

 

기본값이 50mm로 시작한다. 앞으로 빼면 뺄수록 0값에 가까워진다.

 

4Cm 위치에 있을때 0.1mm 출력
3.5Cm 위치에 있을때 6.1mm 출력
3Cm 위치에 있을때 12.6mm 출력

 

STM32L0에서 ADC 값 보정없이 읽어서 좀 오차는 있지만 대략적으로 리니어하게 잘 나오는것 같다. 소스를 좀 손보면 정확하게 할 수 있을지 모르겠지만 귀찮아서 아~~~~~이런 센서도 있구나!! 하고 넘어갔다. 알리에서 구매한 저렴한 센서라 크게 기대 안하고 0.1mm 단위로 ADC입력을 받게 했는데 생각보다? 잘되서 신기했다.

이 센서를 활용하면 틈 벌어짐을 지속적으로 관찰하다 특정 범위까지 벌어지면 데이터를 LoRa로 날려주는 방식으로 활용하면 재미있는 프로젝트가 될 수도 있을것 같다.

알리에 저렴한 게이트웨이가 있어서 하나 구매를 했는데 ST사의 B-L072Z-LRWAN1 보드를 사용해서 게이트웨이에 붙는지 까지 시간이되면 한번 해봐야겠다. 

 

DRAGINO LoRa Gateway

 

오늘 지른 DRAGINO LoRa Gateway!! 915Mhz 옵션으로 구매를 진행했다. 보통 괜찮은 로라 게이트웨이 같은 경우는 최소 50만원 이상으로 다소 부담스러운 부분이 있었는데 일단 가격은 매우 훌륭하지만 잘 동작을 할 진 모르겠다. 

LoRa 모듈 몇개사고 DRAGINO LG02 같은 게이트웨이 하나 사서 자가망을 구축하면 저렴하게 IoT 시스템을 구축 할 수 있어서 로라의 큰 장점이라고 할 수 있다.

보통 알리 배송기간이 2주정도니 2주후면 테스트를 해 볼 수 있을것 같다.

댓글